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하철 연착증 (간편지연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생활경제

by 콘택트 2020. 11. 20. 21:52

본문

지하철 연착증 (간편지연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1~9호선, 신분당선, 분당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서울 지하철을 타고 출퇴근을 하다보면 갑자기 지하철이 연착되서 회사에 연착증을 내야할 때가 있습니다. 5분, 10분 정도는 크게 영향이 없을지 몰라도, 태풍이나 눈이 많이 오는 등 갑작스런 상황에 30분 넘게 지연될 때도 있는데요.

 

그럴때는 지하철 연착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하철 연착증, 지하철 열차 지연 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썸네일

 

전동열차 지연 증명서 발급받는 방법

열차 지연증명서는 내 잘못으로 지각을 한 것이 아니라 지하철이 어떤 사고, 상황으로 인해 지연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증명서로 역무실에서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급할 때 역무실에 들를 수 없다면 인터넷으로도 지연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교통공사: 1~9호선 

1-9호선(1/3/4호선 일부는 코레일에서 발급)은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에 열차 지연정보가 게시되고 있는데, 5분이상 열차 지연시 게시됩니다.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에서만 발생한 내용만 게시됩니다. 각 노선을 잘 확인하고 발급받아야 합니다. 30분 이상 지연된 경우는 고객 센터 1577-1234로 전화문의 해야합니다. 최대 30분이상 지연되었다는 내용까지만 표시되기 때문에, 그 이상을 증명해야한다면 따로 요청을 해야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해서 따라해보세요.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이용정보> 간편지연증명서'를 선택합니다. 그 후 해당하는 날짜를 선택> 노선 및 시간 확인 합니다. 지연시간을 클릭하면 간편지연증명서가 나옵니다. 해당 지연증명서 공유하는 게 불법이래서 첨부는 하지 않겠습니다.

 

1,3,4,호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경강선, 동해선

코레일 광역철도 운영 구간에 대한 열차지연 정보는 따로 게재됩니다. 1호선, 3호선, 4호선이어도 서울도시철도와 코레일의 운행구간이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노선을 확인하고 발급 받으세요.


위 사진처럼 코레일 간편지연증명서 사이트에 접속한 후, 날짜를 선택하고 노선, 방면, 시간을 잘 확인하고 지연시간을 선택하면 됩니다. 간편지연증명서가 나오고 인쇄도 할 수 있어요.

 

아래 링크에서 코레일 간편지연증명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

● 코레일 한국 철도공사 열차지연증명서: info.korail.com/mbs/www/delay/delaylist.jsp

 

 

신분당선

신분당선 지하철 연착증은 따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분당선 구간은 10분 이상 열차 지연시 게시하고 있습니다. 30분 이상 지연시에는 신분당선 콜센터 전화번호 031-8018-7777 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 신분당선 운영구간: 신사 - 광교 

 

신분당선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고객광장> 지연증명서 발급 메뉴를 이용하세요. 

신분당선 열차지연 증명서 발급 바로가기

 

공항철도 연착증 

공항철도가 연착한 경우는 공항철도 홈페이지를 이용합니다.


고객지원메뉴에서 '간편지연증명서' 메뉴를 찾아보세요.

 

날짜별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열차지연이 발생한 경우 '열차지연'이라고 나오는데 이걸 선택하면 됩니다.

● 공항철도 고객센터: 032-745-7329

 

공항철도는 열차가 지연된 경우, 지연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단 태풍, 홍수, 지진등의 천재지변, 기상상태에 의한 지연은 제외입니다. . 

  • 직통열차(지연료): 1시간 이상 지연도착한 경우 5천원
  • 일반열차(대체교통비): 마지막 열차가 지연된 경우 30분 이상 지연시 5천원, 1시간 이상 지연시 1만원.

게시판에 나와있는 정보이기는 하나 아직도 지급하는지는 확실치 않으니 고객센터에 문의해보세요.

 

마무리 

이상으로 서울시 지하철, 공항철도의 열차지연시 연착증을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서 총정리해보았습니다. 지하철 연착시 인터넷으로도 발급받을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