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는 태극기를 다는 일이 흔치 않은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아파트나 공동주택에 많이 살게되면서 그런것 같기도하구요. 아니면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 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아이들이 있는 집은 여전히 태극기 꼬박꼬박 달고 계실 수도 있을 것 같네요.
태극기의 뜻과 그리는 방법 등 태극기와 관련된 내용을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국기(國旗)인 태극기는 언제부터 사용되었을까요.
기록에 의하면 1882년 박영효가 고종의 명으로 일본에 가면서 '태극/4괘도안'의 기를 만들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후 1883년에 고종이 왕명으로 이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하고 공포했습니다.
하지만 국기 만드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아서 다양한 모양의 국기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태극기의 제작법을 통할할 필요성이 커졌고, 정부가 1949년 10월 15일 [국기제작법고시]를 통해서 국기의 제작방법을 확정했습니다.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문양이 있고, 네 모서리에 건곤감리의 4괘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괘(卦) : 주역에서 자연의 존재 양상과 변화의 원리를 상징하는 기호.
나라를 나타내는 국기이기때문에 모든 요소는 각각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냅니다.
태극문양은 음(파랑색)과 양(빨강색)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한 것입니다.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 역시 각각 뜻이 있습니다.
건곤감리 뜻 [乾坤坎離]
건괘(乾卦)-하늘
곤괘(坤卦)-땅
감괘(坎卦)-물
이괘(離卦)-불
하늘, 땅, 물, 불을 나타내는 네가지의 '괘'인데요, 이것은 주역에서 음과 양이 서로 변화, 발전하는 모습을 조합을 통해서 나타낸 것이라고 합니다. 원래 8가지, 8괘가 있는 데 그 중에서 4가지가 사용된 것 같습니다.
어렷을 적엔 태극기 그려가는 숙제도 했던 것 같은데, 어려웠던 기억이 납니다.
다른 나라 국기를 보면 굉장히 단순해서 쉬운데, 우리나라는 왜이렇게 복잡한 걸까 생각했었거든요. 지금 그리는 방법을 살펴보니 기억이 살짝 나네요.
이 숙제를 하면서 저희 아빠가 알려준 방법이 있었는데요.
모서리 네개의 괘 숫자가 헷갈릴 수 있는데, 쉽게 작대기 숫자가 3,4,5,6개로 왼쪽위 (3) >왼쪽아래 (4)> 오른쪽위 (5) > 오른쪽 아래 (6) 순서로 외우라고 했었어요. 한 번 그렇게 생각하고 나면 안잊어 버리더라구요.
* 태극기는 국경일이나 주요 기념일에 계양.
3월 1일 (3.1절) |
이외에도 태극기는 매일 달아도 된다고 합니다.
또 태극기는 집의 왼쪽 또는 중앙에 달아주세요.
국기에 대한 맹세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충성을 다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태극기의 의미와 그리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행정안전부 어린이에 가보시면 태극기 색칠공부도 다운받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댓글 영역